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를 함께 읽어보겠습니다. Chapter 1, 2의 핵심 내용은, '부자는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입니다. 부자들이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위해 일하고 있는 걸까요?
1. 우리가 쉽게 빠지는 인생의 함정
1-1. 인생의 함정
로버트 기요사키는 자본주의 시스템 속, 우리가 쉽게 빠지는 인생의 함정을 소개합니다. 월급이 인생을 지배하도록 두고, 아침에 일어나 직장에 출근하여 저녁에 퇴근. 집에 돌아오면 우편함 속에 있는 청구서를 보고, 월급 받는 날을 기다리며 이런 삶을 반복하는 것이 바로 인생의 함정이다. 사실, 이런 삶은 전 세계 대부분의 사람들의 패턴입니다. 저 또한, 월급날만 기다리며 살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이고, 종종 월급날 사고 싶었지만 못 샀던 물건을 주문하곤 합니다. 그런데, 로버트 기요사키는 이런 삶을 '인생의 함정'이라고 표현합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고정적인 임금에 의존하는 삶이 궁극적으로 우리의 재정을 개선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월급에 의존하면 할수록, 우리는 돈에 대한 두려움이 커져갑니다.
1-2.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
로버트 기요사키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50%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노후를 돈 없이 보내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즉, 우리의 가장 큰 두려움은 돈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돈을 벌면 벌수록, 직장에서 승진해서 더 많은 월급이 들어올수록, 우리는 그만큼 많은 세금을 냅니다. 또한, 월급이 늘어난 만큼 우리의 소비 수준도 증가하면서 더 넓은 집, 더 좋은 차, 더 비싼 외식에 돈을 지출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는 돈을 벌면 벌수록 더욱 많은 돈을 벌어야 한다는 두려움도 커지는 현상을 경험합니다. 좋은 직장, 대기업에 취직하는 것이 우리의 '돈에 대한 두려움'을 장기적으로 없애주나요? 답은 너무도 명확히 '아니다'입니다. 좋은 직장에 들어가는 것은 단기적인 재정 문제를 해결해 줄 뿐, 결국 우리는 돈에 대한 두려움과 어려움을 직면할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들이 가난이나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두려움과 금융지식의 부재에 있습니다. 종종 우리는, 우리가 부자가 되지 못하는 것을 기업, 부자들, 정부의 탓으로 돌리곤 합니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부자가 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이 아닙니다. 우리는 월급을 얼마나 받느냐에 삶을 결정지으면 안 됩니다.
2. 전형적인 신혼부부가 직면하는 상황
다음은 전형적인 신혼부부가 직면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교육을 많이 받은 똑똑한 젊은 부부가 작은 아파트에 월세로 신혼생활을 시작한다. 하지만 아이가 생기면서, 함께 돈을 모아 조금 더 큰 집으로 이사하기로 마음먹는다.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면서 교육비 지출이 늘어나고 이에 부부는 더 열심히 일에 전념한다. 직장에서 승진하고 더 많은 돈을 받을수록, 세금과 지출이 늘어난다. 집을 사면서 그 집에 대한 재산세도 내기 시작한다. 새 차를 사고, 큰 집에 걸맞은 새 가구와 살림살이를 구입한다. 어느 날 부채 부문에 주택융자, 신용카드 빚이 가득 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들의 가장 큰 자산인 집값이 올라, 그들은 채무 통합 대출을 더 많은 한도 내 받을 수 있다. 주택 융자금 상환 기간이 30년 이상이기 때문에 당장 큰돈을 값을 필요는 없으나, 이 빚은 이 부부가 평생 일을 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계기가 된다." 이 부부가 나이가 들어 은퇴하게 된다면, 부부는 어떤 돈으로 노후를 살아갈 수 있나요?

3. 첫 번째 규칙은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알고 자산을 사는 것!
로버트 기요사키는, 우리가 부자가 되기 위한 첫 번째 규칙은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알고, 자산을 사는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부자는 자산을 취득하지만, 가난한 이들과 중산층은 부채를 자산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돈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쌓도록 노력하고 금융지식을 축적해가야 합니다. 왜 금융지식을 배워야 할까요? 얼마나 내가 버는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얼마나 내가 (금융지식을 바탕으로) 모을 수 있느냐가 부자가 되는 핵심 원칙입니다. 우리는 종종 수십억의 복권에 당첨된 사람들이 빠른 시간 내 파산하는 사례를 듣습니다. 이는, 복권에 당첨된 사람들이 돈을 보존하고 늘리는 금융지식 없이 갑자가 돈을 갖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내 돈을 지키고 오랫동안 간직하려면 우리는 무조건 금융지식을 쌓아야 합니다. 우리의 돈은 우리 머릿속에 있는 현금흐름 패턴을 가속화할 뿐입니다.
4. 부자들의 현금흐름
아래 표는 로버트 기요사키가 책에서 언급한 부자들의 현금 프름 대차대조표입니다. 부자들은 월급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주식, 지적 자산 등이 각각 임대료 수익, 배당금, 이자, 로열티의 수입원이 되고 이 수입이 지출을 상쇄하고도 남아 다시 자산에 투입됩니다. 이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효과를 가져옵니다.

돈은 우리가 설계한 현금 흐름 패턴을 가속화할 뿐입니다. 만약 우리가 가난한 이들의 현금흐름 패턴으로 가진 돈을 모두 소비해버린다면, 수입이 증가할수록 소비도 증가하는 악순환에 빠지고 맙니다. 로버트 기요사키는, 아침에 일어나 일터에서 일하는 반복된 삶은 자기 발에 대고 총을 계속 쏘는 행위라고 표현합니다. 왜냐하면, 이는 돈의 지배를 받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난한 이들과 중산층은 너무도 자주 돈으로부터 지배당합니다. 부자가 더욱 부자가 되는 원리는, 자산이 지출을 상쇄하고도 남을 정도로 충분한 수입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남은 돈은 다시 자산에 재투자되어 부를 더욱 창출합니다. 중산층(고수입 전문직)이 돈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이유는, 그들의 주요 수입원이 임금이기 때문입니다. 임금이 인상되면 세금도 함께 인상됩니다. 또한, 그들은 자신의 집(부동산)을 가장 큰 자산이라 여기기 때문에, 다른 자산에 투자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임금이 끊기면 재정적 어려움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습니다. 결국 자기 자신을 위해 일을 하겠다고 결심했다면, 자산을 취득하는데 전념해야 합니다.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바운드 UNBOUND : 변화의 최전선에서 대체불가능한 사람이 되는 법 (0) | 2022.09.05 |
---|---|
부자 아빠의 3번째 이야기 : 자신만의 사업을 당장 시작하라. (0) | 2022.09.04 |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1) 부자와 가난한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 (4) | 2022.09.02 |
죽음의 수용소에서 ; 절망을 희망으로 승화시킨 인간 존엄성의 승리 (0) | 2022.02.06 |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 대한민국 국민의 경제독립 액션플랜! (3) | 2022.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