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자 '홍춘욱 박사' 소개
홍춘욱 박사님은 1993년 한국 금융연구원에서 시작하여, 국민연금 투자운용팀장, KB국민은행 수석 경제학자를 거친 우리나라의 경제 흐름을 명쾌하게 해석하는 경제학자입니다. 현재는 세종사이버대학교 경영학과 초빙교수 및 각종 유튜브 채널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며, 저 또한, 유명한 자기 계발 유튜브 채널인 '체인지 그라운드'에서 홍춘욱 박사님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라는 책을 선택한 이유는, 박사님의 진솔한 투자 경험담이 녹아있다는 소문을 들었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경제적 자유를 얻고, 유명한 경제학자로 명성이 자자한 홍춘욱 박사님도, 투자에 크게 실패하여 나락으로 빠졌던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20대에는 주식에 무작정 뛰어들어 실패를 여러 차례 반복했습니다. 친구와 서로 보증을 서 빚을 내 투자하는 아찔한 전략을 사용했다가, 불나방이 몸을 데듯 엄청난 손실을 입고 다시는 주식에 투자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전세 집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는 것을 본 후 '내 집 마련'의 꿈을 다시 꾸기 시작했고, 30대에 접어들어 두 번에 걸쳐 아파트 매매를 하며 자산 공부를 지속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2007년 다시 주식투자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2009년 주가 반등의 시작 등 굵직한 금융 시장 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분석하며 종잣돈을 불려 나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당시 '환율 스위칭'의 전략을 명확히 이해하여 큰 차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2. 불황의 시대, 돈을 벌고 싶다면 돈 공부가 우선이다!
2-1. 벼락 거지
여러분은 '벼락 거지'라는 표현, 들어보셨나요? 벼락 거지란, 예전처럼 (별다른 재테크 없이 예, 적금 등의 방법 만으로) 돈을 가지고 있었는데, 주변에 비해 갑자기 자신이 가난해진 것처럼 느끼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변에서 주식, 부동산, 비트코인 등으로 큰돈을 벌었다는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내가 가난하게 느껴진 적이 있으신가요?
저 또한, 작년 11월까지 월급을 받으면 항상 적금통장에 저축하기 바빴습니다. 주변에서, 21년 00 회사의 주식이 20~40% 가까이 올랐다, 비트코인으로 수억 원을 벌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왠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제가 초라하게 느껴지기 시작했습니다. 돈의 흐름을 읽는 눈이 없는 스스로에게 위기의식이 느껴지기 시작했습니다. 약 1년 가까이 저축한 통장에 고작 5,000원의 이자가 지급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대로 가다가는 100년 뒤에야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절망감이 엄습해올 때, 홍춘욱 박사님의 책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2-2. 부자 되기 공부
혹시 저와 같은 2030 세대에 속하신다면, 홍 박사님이 추천하는 아래 내용을 진지하게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홍춘욱 박사님이 2030 세대에게 추천하는 부자 되기 위한 공부
1. 부자가 되려면 '부'에 대한 생각부터 바꾸자. 우리가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대표적인 요인은 '소득 수준의 상승'이라는 것을 인정하자.
2. 2030 세대라면, 부동산 경매에 대해 공부를 시작하자.
3. 불황은 또 다른 기회일 수 있으니, 꾸준히 재테크 공부를 하여 기회를 잡자.
4. 환율 시스템을 읽는 공부를 시작하자.
저는 돈 공부를 이제라도 제대로 시작할 수 있어 참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홍춘옥 박사님의 솔직한 이야기를 읽으며 이제라도 '경제적 자유'를 목표로 달려갈 수 있어 감사하고, 최근 미국발 금리인상 위기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3. 우리 모두 2022년에는 부자 됩시다!
부자와 돈에 대한 생각을 전환함으로써, 우리는 조금 더 진지하고 솔직한 자세로 우리의 '돈'을 대할 수 있습니다.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 기본 욕구가 충족된다면, 소득이 더 증가해도 행복은 그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 혹시 들어보셨나요? 1974년 리처드 이스털린은 해당 이론을 발표하면서, 어느 수준 이상부터는 소득이 증가하는 것이 행복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21세기, 해당 이론은 힘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25개 국가의 연간 가구 소득이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득 수준이 증가할수록 삶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즉, 소득과 우리의 행복감은 유의미한 연관관계가 있습니다. 홍춘옥 박사님은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돈의 흐름을 읽는 눈) 저서에서, 여러 가지 본인의 재테크 성공 노하우를 소개하였습니다. 모든 책의 내용이 현재 우리 모두에게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개인의 사정과 실시간 세계 경제 흐름에 따라 재테크 전략은 수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지금 우리가 우리의 돈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면, 솔직하게 본인의 (돈을 많이 벌겠다는 선한) 욕심을 인정하고 재테크 공부를 하루빨리 시작해야겠습니다. 2022년, 새해에는 우리 모두 재테크에 성공하여 부자 됩시다!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의 수용소에서 ; 절망을 희망으로 승화시킨 인간 존엄성의 승리 (0) | 2022.02.06 |
---|---|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 대한민국 국민의 경제독립 액션플랜! (3) | 2022.02.04 |
[웰씽킹] 부를 창조하는 뿌리, 그 비밀은 '웰씽킹'에 있다. (0) | 2022.02.02 |
[부의 인문학] 슈퍼리치 꿈나무의 부자 입문서 (0) | 2021.12.20 |
[브랜드가 되어간다는 것] '나'라는 하나뿐인 브랜드 가꾸기 (0) | 2021.12.12 |
댓글